재피어 연동하기

재피어 연동 방법을 알아봅니다.

재피어(Zapier)란?

재피어(Zapier)는 서로 다른 두개의 툴을 연동시켜 업무를 자동화 할 수 있는 서비스 입니다. 예를들어 구글폼을 통해 접수를 받고 구글의 스프레드시트에 자동으로 정리가 되도록 자동화 할 수 있습니다.

큐샵은 재피어를 이용하여, 입력폼 블록을 통해 접수가 된 폼 내용을 스프레드 시트를 통한 정리 및 메일 발송이 자동으로 되도록 설정을 할 수 있습니다.

재피어를 활용하여 큐샵의 입력폼 블록과 구글의 스프레드시트 및 자동 메일 발송 설정 방법을 알아봅니다.

1. 연결 준비하기

재피어를 통해 입력폼과 구글의 스프레드시트를 연결하기 위해서는 입력폼 블록을 통해 항목 생성을 하고, 생성 된 항목을 구글 스프레드 시트에 정리를 해야합니다.

1-1. 입력폼 설정하기

입력폼은 사이트를 이용하는 이용자에게 상담 신청 및 설문 조사 등의 목적으로 활용하게 됩니다.

재피어 연동을 위해서는 입력폼 생성을 완료해주셔야합니다.

아래 순서를 참고하여 입력폼 생성을 부탁드립니다.

1-1-1. 큐샵 로그인 후 에디터 들어갑니다.

1-1-2. 에디터를 통해 입력폼 블록을 추가합니다.

1-1-3. 수집하고자 하는 정보의 입력 필드를 생성합니다.

필드 설정에 대한 자세한 내용을 입력폼 블록 가이드를 참고해주세요.

1-2. 스프레드 시트 생성하기(선택)

입력폼을 생성하신 후 해당 정보와 동일하게 스프레드시트를 만들어야합니다.

1-2-1. 구글 스프레드 시트에 들어갑니다.

1-2-2. 빈 스프레드시트를 생성합니다.

이후 재피어 연결 시 관리를 위해 이름을 변경해줍니다.

1-2-3. 생성한 입력폼과 동일하게 시트의 1행에 항목을 만들어 줍니다.

1-2-3.(선택사항) 만약 연락처 정보와 날짜 정보를 받을 경우, 각 항목의 서식을 지정해주셔야합니다.

접수 날짜는 재피어를 통해 자동 생성이 되며 선택적으로 사용이 가능합니다.

2. 재피어 연결하기

입력폼 블록과 스프레드시트의 항목을 모두 준비했다면 재피어를 통해 앞서 만들어둔 항목을 연결하여 사용이 가능합니다.

2-1. Zap(잽) 만들기

Zap은 여러 툴의 연동 작업을 위해 생성하는 과정입니다. Zap안에 여러개의 툴을 연동하여 사용 할 수 있습니다.

2-1-1. 재피어(Zapier) 회원가입 또는 로그인을 합니다.

2-1-2. 왼쪽 [+ Create] 버튼을 클릭하여 [Zaps] 버튼을 클릭합니다.

왼쪽 메뉴 [Zaps] 클릭 후 오른쪽 위 [+ Create > New Zap] 버튼 클릭을 통해 Zaps 생성을 할 수 있습니다.

2-1-3. Zap 생성이 완료 되었습니다.

2-2. Trigger(트리거) 설정하기

Trigger(트리거)란 원하는 결과물이 나오도록 설정하는 조건입니다.

예를들어, 입력폼 제출 시 입력폼의 내용을 스프레드시트에 정리가 되거나 구글의 메일로 발송이 되도록 설정하기 위해서는 입력폼 제출의 과정이 트리거가 되는 것 입니다.

2-2-1. 생성 된 Zap에 Trigger를 클릭합니다.

2-2-2. Trigger 목록 중 QShop을 선택합니다.

목록 내 확인이 되지않을 경우 Qshop을 검색합니다.

2-2-3. Trigger Event(트리거 이벤트)는 Trigger의 구체적인 조건입니다.

우리는 입력폼의 제출 정보를 받아야 하기 때문에 Trigger의 조건인 Form Submitted (입력폼 제출)로 설정을 합니다.

[Trigger Event] 의 빈 칸을 클릭 합니다.

2-2-4. 목록의 [Form Submitted]을 선택 합니다.

2-2-5. Account(어카운트)는 선택한 서비스(Qshop)의 계정과 연동을 하는 과정입니다. Account 항목의 [Select] 버튼을 클릭합니다.

2-2-6. 큐샵 로그인 및 연결 할 사이트를 선택한 후 [Continue]버튼을 클릭합니다.

2-2-7. Configure(컨피기어)는 사이트에 생성 된 입력폼을 선택하는 과정입니다. [Form Name] 항목을 클릭하여, 사이트에 생성 된 입력폼 중 연동을 원하는 입력폼을 선택합니다.

2-2-8. 선택한 입력폼을 확인한 후 [Continue]버튼을 클릭합니다.

2-2-9. Test Trigger(테스트 트리거)는 앞서 설정한 과정들이 정상적으로 작동을 하는 테스트 과정입니다. [Test Trigger] 버튼을 클릭하여 생성 된 레코드 정보를 확인 합니다.

레코드에는 이전 단계에서 선택한 입력폼의 항목이 적용 됩니다.

2-2-10. 확인이 완료 된 후 [Continue with selected record] 버튼을 클릭합니다.

2-3. Action(액션) 설정하기

Action(액션)Trigger(트리거)라는 조건을 통해 나타나는 결과물 입니다.

재피어를 통해 입력폼 제출 후 스프레드시트를 통해 폼 제출 내용을 정리하거나, Gmail을 통해 접수 내용을 받아 볼 수 있습니다. 이때 입력폼 제출이라는 Trigger(트리거)로 인해 발생되는 결과물을 스프레드시트 또는 Gmail로 연결하는 것이 Action(액션)이 되는 것 입니다.

Gmail Action 설정하기

1. Trigger가 적용 된 Zap의 [Action] 을 클릭합니다.

2. Action 목록 중 [Gmail]을 선택합니다.

3. Action event(액션 이벤트)는 폼 제출 내용을 Gmail을 통해 어떤 방식으로 처리할지 선택하는 과정입니다. 우리는 입력폼의 제출 정보를 메일로 받아야 하기 때문에 [Sedn Email]로 설정하게 됩니다.

먼저, [Action event]의 빈 칸을 클릭합니다.

4. Action event 목록 중 [Send Email]을 선택합니다.

5. Account(어카운트)는 선택한 서비스(Qshop)와 Gmail을 연동 하는 과정입니다. Account 항목의 [Select] 버튼을 클릭합니다.

6. Gmail을 사용 할 구글 계정에 로그인 한 후 [Continue]버튼을 클릭합니다.

7. Configure(컨피기어)는 메일의 발신, 수신 대상의 주소와 메일의 내용을 입력하는 과정입니다. To(받는사람), Subject(제목) 과 Body(내용)은 필수 항목이며 이외 항목은 선택적으로 설정을 합니다.

항목
설명

TO(필수)

메일을 받을 대상의 메일주소를 입력합니다. 여러명에게 보낼 경우 [+]버튼을 통해 추가를 합니다.

From(선택)

발신자의 메일주소를 입력팝니다. 미 입력 시 로그인 구글 주소로 발송

Subject(필수)

메일의 제목을 입력합니다.

Body Type(필수)

plain 을 선택합니다.

Body(필수)

메일을 통해 발송이 될 내용과 입력폼의 항목을 선택합니다.

8. Test 과정은 설정한 내용이 메일로 정상 발송이 되는지 확인을 하는 과정입니다. [Test Step] 버튼을 클릭해 테스트를 진행합니다.

9. 올바르게 적용이 되었다면 아래 이미지와 같이 Gmail을 통해 설정 내용이 발송됩니다.

10. 테스트 결과를 확인 한 후 [Publish] 버튼을 클릭합니다.

11. 모든 설정이 완료되었습니다. 이제, 사이트의 입력폼을 통해 접수 된 내용이 Gmail을 통해 발송이 됩니다.

스프레드 시트 Action 설정하기

1. Trigger가 적용 된 Zap의 [Action] 을 클릭합니다.

2. Action 목록 중 [Google Sheets]를 선택합니다.

3. Action event(액션 이벤트)는 폼 제출 내용을 스프레드시트에 어떤 형태로 보여줄지 결정하는 과정입니다. 우리는 앞서 생성한 스프레드시트의 1행 아래로 제출 내용을 적용하기 위해 [Create Spreadsheet Row]로 설정을 합니다.

먼저, [Action event]의 빈 칸을 클릭합니다.

4. Action event 목록 중 [Create Spreadsheet Row]을 선택합니다.

5. Account(어카운트)는 선택한 서비스(Qshop)와 구글 스프레드 시트를 연동 하는 과정입니다. Account 항목의 [Select] 버튼을 클릭합니다.

6. 스프레드시트를 사용할 구글 계정에 로그인 한 후 [Continue]버튼을 클릭 합니다.

7. Configure(컨피기어)는 로그인한 구글 계정에 생성 된 스프레드 스트를 선택하는 과정입니다. [Spreadsheet] 항목의 빈 칸을 클릭합니다.

8. 구글에 생성 된 스프레드시트 중 입력폼과 연결하여 사용 할 스프레드 시트를 선택합니다.

9. Worksheet 는 위 과정에서 선택한 스프레드시트 내 생성 된 시트를 선택하는 과정입니다. [Worksheet] 항목의 빈 칸을 클릭합니다.

10. 생성 된 시트 중 입력폼과 연결하여 사용 할 시트를 선택합니다.

“Use Timezone set up on the spreadsheet to format date values?” 항목은 [False]를 선택합니다.

11. 9번과 10번 과정을 통해 시트트를 선택하게 되면 스프레드시트에 적용해둔 항목들이 나타나게 됩니다.

12. 각 항목에 맞는 Trigger의 값을 선택한 후 [Continue] 버튼을 클릭합니다.

항목에 / 를 입력하여, Trigger 값을 선택할 수 있습니다.

13. Test 과정은 설정한 항목이 스프레드시트에 올바르게 적용이 되는지 확인을 하는 과정입니다. [Test Step] 버튼을 클릭해 테스트를 진행합니다.

14. 올바르게 적용이 되었다면 아래 이미지와 같이 시트 각 항목 2행에 결과값이 적용이 됩니다.

15. 테스트 결과를 확인 한 후 [Publish] 버튼을 클릭합니다.

16. 모든 설정이 완료되었습니다. 이제, 사이트의 입력폼을 통해 접수 된 내용이 스프레드시트를 통해 쌓이게 됩니다.

2-4. Action(액션) 추가하기

하나의 Trigger(트리거)에는 여러개의 Action(액션)을 추가 사용을 할 수 있습니다. 예를 들어 입력폼 제출 내용을 Zap(잽)을 추가 생성하는 것이 아닌 하나의 Trigger에 두개의 Action을 설정하여 사용이 가능합니다.

2-4-1. Action을 추가하려는 Zap을 선택합니다.

2-4-2. 오른쪽 위 [Edit draft] 버튼을 클릭합니다.

2-4-3. 생성한 Action 아래 [+] 버튼을 클릭하여 새로운 Action을 생성합니다.

2-4-4. [2-3. Action 설정하기] 가이드를 참고하여 Action 설정은 진행합니다.

Last updated

Was this helpful?